네안데르탈

Neandertal

다비드 쥬셀송 David Geselson

  • 연출 다비드 쥬셀송
  • 장르 연극
  • 일정 10.31.Fri. 7:30pm 11.1.Sat. 3pm 11.2.Sun. 3pm
  • 관객과 대화 준비 중입니다.
  • 언어 프랑스어
  • 접근성 한국어 자막 영어 자막
  • 관람연령 만 16세 이상
  • 공연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공연시간 145분
  • 초연 2023 아비뇽 페스티벌, 프랑스
  • 입장료 R 65,000원 S 50,000원 A 30,000원

 

인류의 기원을 뒤흔드는 무대 위 과학 실험, 인간의 본질적 의미를 묻다

공연소개

DNA는 보이지 않는 백과사전이다. 우리 몸 곳곳에 새겨진 이 유전 코드는 지금의 나를 만들었을 뿐 아니라, 수만 년 전 조상들의 흔적을 품고 있다. 모든 생명체의 청사진 DNA. 과연 이 백과사전은 어떻게 지금의 모습에 이르게 되었을까? 우리는 이를 어떻게 읽고, 해독하고, 해석할 수 있을까?

202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스반테 파보(Svante Pääbo)'는 1990년대부터 과감한 탐구를 시작했다. 고대 인류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해독하고, 이를 현대 인류의 유전 정보와 비교하며 인류의 기원을 추적한 것이다. 그의 연구는 과학의 패러다임을 전환시켰다. 그 결과는 단순한 학문적 성과를 넘어, 우리가 누구인지, 어디서 왔는지, 그리고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다시 묻는다.

<네안데르탈(Neanderthal)>은 바로 이 '스반테 파보'의 연구와 전기를 바탕으로 '로절린드 프랭클린(Rosalind Franklin)', '그레고르 멘델(Gregor Mendel)', '크레이그 벤터(Craig Venter)', '마야 파우노비치(Maja Paunović)' 등의 실존 과학자들에게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작품이다. 작품은 세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던 과학자들의 삶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작품내용

공연은 과학자들의 연구와 사생활, 실험과 감정의 교차를 무대 위로 끌어올린다. 여섯 명의 배우는 연구실이라는 고독한 공간 속에서 DNA 조각을 해독하는 과학자이자 사랑하고 갈등하며 흔들리는 인간으로 살아간다. 이들의 삶과 연구는 뒤섞이고 충돌하며 서로를 자극한다. 실험실에서 비롯된 이들의 발견은 인류 기원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뒤집으며 '인종' 혹은 민족적 순수성’이라는 개념을 허물고 조각낸다. 그리고 말한다. 생명은 어둡고 고통스러운 순간들을 지나 우리에게 이르렀고, 이를 넘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네안데르탈>은 인류의 기원이 교차와 혼합, 만남과 단절의 연속선 위에 있음을 드러내며, 오늘날 우리 사회가 직면한 질문, 즉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서 왔는가에 정면으로 응답한다.

연출
다비드 쥬셀송

다비드 쥬셀송

다비드 쥬셀송(Davide Enia)은 프랑스의 배우, 작가, 연출가로 활동하고 있다. 앙드레 고르(André Gorz)의 『D에게 보낸 편지』에서 영감을 받아 창작한 작품 『도린』으로 큰 주목을 받으며, 2017년 프랑스 평론가협회 최우수 프랑스어 작품상을 수상했다. 『앙 루트-카디시(En Route-Kaddish)』(2014), 『언리튼 레터스(Unwritten Letters)』(2017), 『사일런스 앤 피어(Silence and Fear)』(2020), 『네안데르탈』(2023, 아비뇽 페스티벌 초연)을 집필, 연출, 출연했다. 배우로서 티아고 로드리게스(Tiago Rodrigues) 연출작에 출연하며 주목받았고, 연극뿐만 아니라 영화와 TV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하고 있다.

프랑스의 주요 극장과 페스티벌을 비롯해 스페인의 역사 깊은 공공 극장 마드리드 테아트로 에스파뇰(Teatro Español)과 프랑스의 실험적이고 국제적인 현대 공연예술 허브 MC93(Maison de la Culture de Seine-Saint-Denis) 등에서 다양한 연출작을 선보였다, 2024–25 시즌에는 대만, 2025–26 시즌에는 낭시 오페라에서 활동할 예정이다.

제작진
  • 각본 및 연출다비드 쥬셀송
  • 출연다비드 쥬셀송, 아델린 기요, 피터 드 그라에프 또는 얀 하메네커(교대 출연), 마리나 켈체우스키, 사라 르 피카르 또는 로르 마티스(교대 출연), 엘리오스 노엘
  • 라이브 샌드 드로잉마린 딜라드
  • 첼로제레미 아르카슈 또는 발렌틴 무수(교대 출연)
  • 조연출오렐리앙 아마르-파디스, 제이드 매니앙
  • 세트 디자이너리사 나바로, 협력자 마르고 네시
  • 조명 디자이너제레미 파팽, 협력자 로즈몽드 아람부르
  • 비디오 디자이너제레미 셰이들러
  • 인터랙션 및 비디오 디자이너제레미 가스통-라울
  • 음향 디자이너루아크 르 루, 협력자 오란 듀클로스
  •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제레미 아르카슈
  • 의상 디자이너벤자민 모로, 협력자 플로렌스 드밍종
  • 조연 작가켄탱 리우알
  • 예술 자문쥘리엣 나비스
  • 총무 무대 감독실뱅 타르디
  • 무대 감독니콜라 에노, 케일라 크로그
  • 세트 제작MC93, 세느 생 드니 문화의 집
  • 총괄 매니저, 투어 매니저누라 사이루르
  • 프로덕션 매니저레티티아 파바롱
  • 홍보알터머신 / 캐롤 윌르모
  • 투어 팀
  • 조연출셀린 고디에
  • 총무 무대 감독실뱅 타르디
  • 무대 감독니콜라 에노, 케일라 크로그
  • 조명 매니저로즈몽드 아람부르, 마린 르 베이
  • 음향 매니저오란 듀클로스, 루아크 르 루
  • 비디오 매니저쥘리앵 레이스, 제레미 셰이들러
  • 의상 매니저알레트 리카르
  • 과학 자문에블린 헤예르, 소피 라포스 (생태인류학, 뮈제 델롬), 시릴 르 포레스티에 (고고인류학, 인랍), 쥴리 비르겔 (CAGT)
  • 제작콩파니 류 디
  • 공동 제작디종 부르고뉴 극장 - 국립극장 센터, 로리앙 극장 - 국립극장 센터, 랭스 코메디 - 국립극장 센터, 제라르 필립 극장 - 생 드니 국립극장 센터, 세나르 극장 - 국립무대, 투루즈 오시타니 CDN, 제네바 코메디, MAIF 소셜 클럽, 아비뇽 페스티벌, 르 카날 - 레동 지역극장, 아를 극장, 말라코프 국립극장, MC93 세느 생 드니 문화의 집, 르 갈리아 극장, 쇼이시 르 루아 극장
  • 후원프랑스 문화부 DGCA, 라 비에 브레브 - 파리 아쿠아리움 극장, CNDC - 극장 우베르
  • 프로젝트 재정 지원일 드 프랑스 지역 및 발 드 마른 지방 자치단체
  • 영감 출처네안데르탈인: 잃어버린 게놈을 찾아서(스반테 페보), 자유를 여는 연결고리(2015), DNA의 다크 레이디 로잘린드 프랭클린(브렌다 매독스), 여성-앙투아네트 푸크(2012), 무덤 파는 사람들(타이나 터보넨, 2021)
  • 감사의 글프레데릭 아이 투아티, 샤리프 안두라, 장-마르크 바르방스, 카롤린 바르노, 라자 벤-포랏, 엘로디 부에덱, 마르틴 봄, 잔 칸델, 알렉상드르 카푸토, 베네딕트 세루티, 야닉 콰이라, 세르반 듀코르, 세바스티앙 에브노, 델핀 에케, 얀 피터스, 마농 크뉘제, 이자벨 르 베르, 크리스텔 마르코엔, 세르주 랑고니, 아르노 세기리, 조세핀 슈페
  • 세트 및 기술 장비 대여CEA / 제노스코프 시퀀싱 연구소, 부상 인민 극장, 마지크-서컨스탄시엘 컴퍼니, 델핀 에케, 라 비에 브레브 - 파리 아쿠아리움 극장, 디종 부르고뉴 국립극장 센터, 랭스 국립극장 센터
  • 출판네안데르탈은 류 디 출판사에서 발행
프로덕션 뤼디

2009년 다비드 쥬셀송이 창단한 극단 '뤼디(Lieux-Dits)'는 현대 연극의 지평 확장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허구와 논픽션의 경계에 위치한 작업을 중심에 두며, ‘정치가 어떻게 개인의 삶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는가’, ‘그 개인은 다시 어떻게 역사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질문을 예술적 탐구의 핵심으로 삼는다. 극단의 중심에는 작가이자 배우인 구성원들이 있으며, 이들은 동시대의 정치·철학·시적 질문을 다루는 텍스트와 작품을 함께 만들어가며 강력한 창작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 예술 전반에 걸쳐 연구, 협업, 혁신의 장을 마련하며 음악·기술·공연의 형식적 실험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호주 공연예술계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준비 중입니다.

준비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