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스포라

Diaspora

챔버 메이드&로빈 폭스 Chamber Made and Robin Fox

  • <디아스포라>의 한 장면. 어두운 무대 중앙에 사람보다 큰 흰색 뇌 모형이 낮게 떠 있다. 뇌 모형의 뒤쪽으로 파란 조명이 퍼져 있다. 4명의 연주자가 무대 가장자리를 둘러서서 각기 다른 악기를 연주한다.
  • 리드 아티스트 로빈 폭스
  • 제작 챔버 메이드
  • 장르 다원
  • 일정 10.18.Sat. 2pm 10.19.Sun. 2pm
  • 언어 영어
  • 접근성 준비 중입니다.
  • 관객과 대화 10.19.SUN.
  • 관람연령 중학생 이상(2012년 12월 31일 이전)
  • 공연장소 세종S씨어터
  • 공연시간 60분
  • 초연 2019 멜버른, 호주
  • 입장료 균일석 40,000원
  • 후원

 

빛과 소리로 구현한 SF 공연, 유토피아적 미래를 꿈꾸다

공연소개

<디아스포라(Diaspora)>는 SF 소설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으로, 사운드와 비주얼을 통해 관객을 낯설고도 강렬한 감각의 세계로 이끈다.
프로젝션, 홀로그램, 레이저가 어우러진 비현실적 무대 위에서 인간과 소프트웨어의 관계를 유토피아적 시선으로 새롭게 조명한다.
아날로그 신디사이저의 깊은 서브베이스, 몽환적인 일렉트릭 바이올린의 선율, 그리고 인간 목소리의 순수함이 층층이 쌓이면서 디지털 생명체의 정교한 구조를 그려낸다.
환각적이며 육감적이고, 전율을 불러일으키는 경험이 관객을 사로잡는다.

연출
로빈 폭스

로빈 폭스

제작진
  • 구성, 창작, 작곡, 전자음향 & 레이저로빈 폭스
  • 공동 작곡 & 바이올린에르키 벨테임
  • 드라마투르그 & 공동 연출타마라 솔윅
  • 온드 뮤지컬 & 무그 신시사이저마들렌 플린
  • 보컬 & 테레민조지나 다르비디스
  • 비디오 아트 & 시스템 디자인닉 루
  • 조명 디자인아멜리아 레버데이비드슨
  • 의상 디자인시오 오타니
챔버 메이드

챔버메이드(Chamber Made)는 음악, 사운드, 현대 공연예술의 교차점을 탐구하며, 예술 형식의 경계를 허물고 재정립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들은 다양한 문화가 교차하며 풍요로워진 21세기 호주의 현실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호주의 유망한 작곡가, 사운드 아티스트, 음악가들에게 극장과 공연 예술 현장 전문가들과 협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끊임없이 탐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음악과 공연 예술 전반에 걸쳐 연구, 협업, 혁신의 장을 마련하며 음악·기술·공연의 형식적 실험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호주 공연예술계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쉬운 글은 공연에 대해 알기 쉽게 쓴 글이에요. 모든 관객이 공연을 더 잘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썼어요.

  • 공연 이름

    <디아스포라>

  • 만든 사람

    챔버 메이드, 로빈 폭스

공연 <디아스포라>는 어둠 안에서 미래를 지켜보는 이야기예요.
컴퓨터 속에서 새로운 사람이 태어나요.
우리는 어떤 미래를 상상할 수 있을까요?

이 공연에서는 빛과 소리로 가득한 디지털 공간이 펼쳐져요.
디지털 공간은 컴퓨터 안에 있는 세계예요.
컴퓨터 안에서 몸이 없는 사람이 만들어져요.
당신은 몸이 없는 사람이 깨어나는 과정을 지켜봐요.

공연 <디아스포라>는 미래를 배경으로 해요.
다양한 영상, 빛, 음악, 목소리를 들어요.
당신은 낯설고 새로운 세계를 경험할 수 있어요.

  • 공연을 보기 전에 꼭 알아두세요
  • 반짝이는 불빛, 레이저, 안개를 사용해요.
  • 큰 소리가 나요.

준비 중입니다.

  • ★★★★★ “…이미지와 소리를 통해 몰입하게 하는, 신나는 SF 체험… 본질적으로 “타인”인 미래와의 불가해할 정도로 이상한 조우. 하지만 친숙한 현재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연을 볼 기회가 있어야 한다.”
    - THE AGE
  • “<디아스포라>는 공상적이고, 분위기 있고, 시청각적으로 극적이다… 깊은 울림을 주는 몸 밖의 경험.’”
    - THE CONVERSATION
  • ★★★★ “작품 전반에 걸쳐 SF 주제가 분명히 드러나지만, 관객의 뇌리에 꽂히게 될 것은 이 작품의 본능적인 경험이다.”
    - TIME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