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 : 02-2098-2983 | E-mail : spaf@gokams.or.kr | Copyright 2023 SPAF. All rights reserved.
-
주최
주관
-
후원
-
협력
2001년 시작된 서울국제공연예술제 (SPAF, Seoul Performing Arts Festival)는 국내 최대 규모와 역사의 한국의 대표적인 국제 공연예술축제로 매년 10월 서울 대학로와 인근 지역에서 한 달 동안 개최된다. SPAF는다양한 동시대 공연예술작품 공연 뿐만아니라, 워크숍, 포럼 프로그램으로 예술가와 관객의 함께 하는 대화의 장이다.
SPAF는 동시대적 관점과 시대적 가치를 담아내는 국제공연예술축제이다. 예술가의 상상력, 창의력, 실험성을 존중하고, 예술의 다양성, 포용성, 접근성을 기반으로하고, 기후위기에 대응하여 환경친화적 축제를 지향하고 실천한다.
동시대 예술 관객과 지역 커뮤니티에게 향유와 참여의 기회 제공하는 축제의 장이다. 서울, 한국과 아시아의 지역성과 초지역성에 기반한 동시대 예술을 지향하고, 세계와 글로벌 관점으로 연대와 협력의 장을 만들어 가는 축제이다.
SPAF는 ‘동시대 관점과 시대적 가치를 담아내는 국제 공연예술 축제’라는 새로운 비전과 미션을 구현하기 위한 세 가지의 큐레토리얼 방향을 제시하고, 공연예술 생태계와 조화롭게 공존하는 국제 공연예술 축제로 거듭나고자 한다.
1) 새로운 서사 : 전환하고 있는 시대적 가치를 토대로 하는 예술의 동시대적 관점에 대해 질문한다. 젠더, 장애, 나이듦에 대해 그간 들리지 않은 목소리와 서사에 주목하고 당사자성과 예술의 다양성과 함께한다.
2) 예술과 과학, 기술의 혁신과 포스트 휴머니즘 : 기술과 과학의 혁신성과 예술의 만남, 확장을 지향한다. 포스트 휴머니즘의 관점에서 비인간, 물질, 과학의 다양한 주체로 예술을 바라본다.
3) 지역성과 초지역성 : 동시대 시간성과 더불어 공간성에 주목하며, 서울과 한국의 역사, 사회, 공간, 건축, 그리고 사람의 지역성과 장소성을 토대로 한다. 지역이라는 고유성을 토대로 세계와 소통하는 예술의 초지역성을 지향한다.
1.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예술의 실천 : 기후 위기의 시대에 예술축제의 역할을 찾고 실천한다. 환경을 생각하는 예술 활동을 뿐만 아니라,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다양한 예술 활동과 역할을 찾아보고 실천하는 축제가 되고자 한다.
2. 예술의 다양한 접근성의 실천 : 장애접근성을 토대로 장애관객개발과 다양한 접근성 제공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실천한다.
3. 예술의 새로운 국제 이동성(Next Mobility) 실천 : 팬데믹 이후 시대 예술 작품과 예술가의 국제적 이동성에 관하여 그 방식과 형태의 변화에 대해 고찰한다. 동시대의 국제성(Internationalism)과 글로벌리즘에 대해 새롭게 질문하고 환경을 생각하는 국제이동성을 실천한다.
4. 협력을 토대로 건강한 공연예술 생태계 만들기 실천 : 포스트 펜데믹 시대의 축제의 새로운 역할, 변화한 공연예술생태계 내에서 공연예술축제의 역할을 재 구조화하고 민간/공공, 지역, 해외 동료 들과 상생 할 수 있는 협력을 실천한다.
예술감독, 서울국제공연예술제 2022-2026
90년대 연극의 몸(신체성), 움직임, 물질성에 관심을 가지고 축제로 공연예술계와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예술과 공간성에 주목하여, 장소특정형 공연과 도시의 공간성과 지역성에 기반한 축제 작업을 하였다. 예술과 도시, 사람의 관계성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에서 소리와 음악에 관심을 가지고 사운드를 통한 예술의 확장성에 대해 궁금중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술의 일상화 시대에 예술과 기술의 관계성은, 다양성과 포용성을 토대로 하는 동시대 공연예술의 새로운 관점은, 기술과 과학의 발달과 함께 하는 예술의 확장성 뿐만아니라, 포스트 휴머니즘 관점에 예술의 역할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1994년 춘천마임축제를 시작으로, 안산국제거리극축제, 한영상호교류의해 2017-18 등의 공연예술축제에서 예술감독으로 프로그램 기획과 축제 제작 일을 했다. 2005년 창립한 아시아나우(AsiaNow)을 통해, 지난 10년간 한국연극의 국제교류, 다양한 국제공동창작, 국제레지던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프로듀서와 드라마투루기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그는 도시 예술 프로젝트인 커넥티드 시티(Connected City)를 한영상호교류의해 프로젝트로 기획하였다. 또한 “DMZ 렌즈를 통해 바라본 우리 시대의 경계와 공존”이라는 주제로 2019 DMZ 리서치 랩(The Korea DMZ Research Lab.)을 기획하였다. 예술의 다양성, 접근성, 포용성 프로젝트로 <극장 공간의 접근성(Accessibility)과 장애 관객 서비스>, 제주국제 컨퍼런스 <포용적 접근의 장애예술 • 창작개발과 창작공간 만들기> 공동 기획하였다.
민간영역의 독립성과 연대를 지향하며 2014년부터 시작한 아시아 프로듀서들의 다양한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인 아시아 프로듀서 플랫폼(Asian Producer’s Platform)과 APP Camp의 운영위원으로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