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두각시
Kkokdugaksi

고물X고블린파티 Gomool X Goblin Party

꼭두각시 Kkokdugaksi  
  • 공동주최 이태원
  • 안무 이태원 (음악동인고물)
  • 제작 임진호 (고블린파티)
  • 공연일시 10.14(금) 19:30
    10.15(토) 15:00, 19:00
    10.16(일) 15:00
  • 가격 전석 30,000원
  • 장르 음악 ●●●●●
    무용 ●●●●●
    영상 ●○○○○
    연극 ●○○○○
  • 공연장소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 소요시간 50분
  • 관람연령 8세 이상
  • 초연 2022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주객 관계 형성의 근원적 현장을
컨템포러리한 음악과 춤의 관계 속에서 기억해내고 대면하고 상대화한다.

작품소개

인간이 기계를 작동하는 것인지 기계가 인간을 부리는 것인지 점점 알 수 없는 세계로 속도를 내 들어가고 있는 미래를, 전통음악의 입으로, 현대무용의 몸으로 그려내다.

작품내용

꼭두각시는 춤이기도 하고 노래이기도 하고 놀이이기도 하다. 또 꼭두각시는 장례의 상징이기도 하고 여성이기도 하고, 인형이기도 하기 때문에 마리오네트 수동성의 화신이기도 하다. <꼭두각시>는 이와 같은 중의성을 한 몸에 지닌 작품이다. 무대 위에서는 무용수, 연주자 가릴 것 없이 모두 춤도 추고 노래도 하며 논다. 놀면서, 주체와 객체, 지배와 억압의 자리를 바꿔가며, 객체의 다발일 뿐이 주체가 객체를 타자화함으로써 주체 자신을 타자화하는 현장을 재구성한다.

연출가 소개
------------------

------------
------------

------------



---------------

제작진

연출 | 이태원
음악 | 이태원, 음악동인고물
안무 | 임진호, 고블린파티
음악동인고물 | 고진호, 배승빈, 홍예진, 소명진, 정준규
고블린파티 | 이연주, 임성은, 임진호
음향 | 염경호
조명 | 이승호
영상 | LIMVERT
무대감독 | 곽용민
프로덕션 | 옐로밤

고물X고블린파티(Gomool X Goblin Party) 음악동인 고물

음악동인고물은 전통음악 관련 창작물의 문제점에서 시작해, 전통음악 자체에 대한 인식의 문제점을 대면하면서 대안적 인식을 추구하고 그 내용을 공연화하여 2009년 이후 다수의 공연형 다큐멘터리(Staged Documentary)를 발표해왔다. <국악주의자들>(2017), <이랴도 태평성대>(2015), <국악에 관한 세 가지 논쟁>(2010), <한 노래의 삶과 죽음>(2009) 외 다수.


고블린파티

고블린파티는 비상한 힘과 재주로 사람들을 홀리는 한국의 도깨비들을 닮은 사람들이 모인 정당이다. 춤을 추는 동안 이야기 속의 존재로서 오늘날 살아가는 사람들의 가까이에 머무르고자 한다. 컨템포러리 댄스를 기반으로 관객과의 중점을 두고 또한 관객의 관점을 넓힐 수 있는 작품을 추구한다. 한국춤비평가협회 베스트5작품상 <옛날옛적에>(2016), 유럽현대무용플랫폼 에어로웨이브즈(Aerowaves) 초청작 <은장도>(2016), 창무예술원 무용작품 수상작 <놀이터>(2020)외 다수.

  • 공연사진 1/2  
  • 공연사진 2/2  
  • ‘지금까지 수많은 협연을 봐왔지만 이정도 수준의 컬래버레이션은 경험한 적이 없었다.
    그것도 서로 다른 장르에 깊숙이 개입해서 주인공을 대체하는 것을.
    무용과 음악, 몸짓과 소리, 서로 다른 비언어적 요소가 충돌(?)한다. 하지만 자기의 뜻대로 움직이지 않고 낯섬을 인정한 채 누군가의 조종을 받으면서 공연은 정점에 달해간다.’

    2022. 오마이뉴스
  • ‘움직임은 연주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이러한 움직임은 그 자체로 안무의 영역으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연주의 움직임과 안무의 움직임은 매끈하게 결합되는 듯 보인다.’
    2022. 아트씬
  • ‘꼭두각시는 달랐다. 이 공연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분석과 해석‘이 확연하거나 없는 대신에, 대신 ’꼭두각시‘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분리와 해체‘를 하면서, 거기서 의미망을 계속 흥미롭게 만들어 나아갔다는 점을 극찬한다. 그것이 전혀 어렵지도 않고 재밌다는 게 금상첨화!’
    2022. 음악평론 윤중강